Page 9 - 53
P. 9

Vol. 53 INSUNG GIRLS’ HIGH SCHOOL                                                 INSUNG GIRLS’ HIGH SCHOOL Vol. 53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적정기술의 개발과 교육에 있다는 것을 동아리 ‘주나임’ 시간에 NGO단체로부터 세  경제적으로 고속 성장을 이루어 내고 누구나 삶의 질을 보장 받을 수 있는 복지국가가 되었지만, 아직 장
 계시민교육을 받는 과정에서 깨닫게 되어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애인들과 같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이동권 조차 보장받고 있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습

                                            니다. 저는 법률 분야에, 조원들은 인권 분야에 평소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기에 함께 연구를 진행해가
 2위팀 : <알로까시옹>                              며 헌법과 도로교통법 등에서 보장하고 있는 이동권을 알아보기로 하였습니다. 특히, 사회적 소수자 중
 | 팀원 : 김다은, 이경민, 이미영, 이예은, 조민경 |           기본권 침해가 더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장애인 문제와 저희지역 주변에 침해사례를 알아보고 싶어 이
 팀 이름 선정이유는 무엇인가요?                          번 주제를 학술 연구의 주제로 삼았습니다.


 ‘알로까시옹’은 프랑스의 유명 복지제도에서 따왔습니다.
 학술주제와 주제선정이유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3위팀 : <MUTATION>(돌연변이)
 학술주제는 프랑스 장애 복지 제도와 우리나라 장애 복지 제도비교이고요 선정이유는 증가하고 있는 장  | 팀원 : 김서연, 김유진, 박송이, 박소현, 안시내 |
 애인의 수에 비해 우리 사회에서 생겨나고 실천되고 있는 정책이 다양하고 효과적이지 못함을 주위의 많  인성여고 동아리 ‘초록천사’로 구성되었다.
 은 장애인 편의시설에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복지 선진국인 프랑스의 장애인 복지정책과 우리나  팀 이름 선정이유는 무엇인가요?
 라의 장애인 복지정책을 조사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제도의 제도적인 측면의 문제  돌연변이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염기서열 변화로 인해 유전형질의 변형이 자손에게 까지 전달되

 점을 알리고, 장애인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변화와 복지제도의 개선을 위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는 현상 이라는 뜻으로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들처럼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고 사람을 비롯한 동물과 식
                                            물등 다른 생명체에 들어가야만 자신과 똑같은 자손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생명체와
 3위팀 : <PROTEIN>                            는 다른 새로운 생명체이므로 ‘유전물질인 DNA가 갑자기 변화되어 나타난 것’에 초점을 두어 MUTA-
 | 팀원 : 김미라, 인유라, 김현정, 권혜미 |                TION(돌연변이)로 지었습니다.
 팀 이름 선정이유는 무엇인가요?                          학술주제와 주제선정이유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프로테인은 영어로 단백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단백질이 우리 몸의 중요 3대 영양소인 것처럼 인  주제는 생물체 내에서의 바이러스의 작용과 컴퓨터 내에서의 바이러스 작용의 비교분석이고요 주제선
 권 역시 사람에게 있어 중요한 요소이고 이런 인권의 작은 범위인 장애인의 이동권의 보장 또한 우리사  정이유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신종 플루,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등의 문제들이 사회적문제로 떠올랐습
 회가 더욱 발전하는데 우리 몸 3대 영양소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이동권 보  니다. 그럴 때 마다 무엇 때문에 변종이 일어나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생기곤 했습니다. 이러한 의문점
 장을 통해 인권을 보장하고, 사회의 단백질 같은 존재가 되고자 하였고, 또한 PROTE(ct) + IN(인권)   과 함께 우리가 편한 생활을 하기위해 계속해서 지구를 바꿔나가며 새로 창조할 때 같이 창조되는 일종
 이라는 약자의 합성어로 ‘장애인 인권을 보장한다’는 뜻도 내포하고 있어 팀 명칭을 PROTEIN으로 결  의 적 같은 관계가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바이러스
 정하게 되었습니다.                                 들의 심각성을 알리면서 해결방안까지 제시하여, 많은 이들이 공감하며 함께 문제의식을 갖게하고자 위

 학술주제와 주제선정이유에 대해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주제는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연구와 주변 침해사례 조사입니다. 저희가 ‘장애인 이동권’에 대해 연구를
 시작한 것은 어쩌다 접한 뉴스기사 때문이었습니다. 대부분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인 버스나 지하철에 제  9팀은 수개월동안 자신들의 학술주제에 걸맞는 내용들을 조사하였고 노력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대로 된 장애인 탑승시설이 없어서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없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희는 이 뉴스를   smallest, 층층나무, 알로까시옹, protein, mutation팀이 결승진출을 하게되었다.
 보면서 아직 우리나라는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인식이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우리나라가   층층나무팀은 학술대회의 첫 번째 발표팀으로 발표자는 이남희학생이였다. 첫 번째 발표팀인데도 불

                                            구하고 떨지 않고 능수능란한 모습으로 멋있게 발표한 것이 인상깊게 남았다.
                                               두 번째 발표팀은 smallest팀으로 직접 개발한 제품을 소개한것이 창의적이였고 protein팀은 지하
                                            철이나 주변 공공장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장애인을 위한 시스템에서 우리가 몰랐던 단점들을 직접 찾아
                                            내어 놀라움을 선사하였다. 알로까시옹팀과 돌연변이팀은 1학년학생들로 구성된 팀인데도 불구하고 2학
                                            년 선배들의 모습에 뒤치지 않고 최선을 다했다.


                                               모두가 긴장했던 순간! 결과가 나왔다. 1위는 층층나무 팀이었고, 이름이 호명되는 순간 대표 이남희
                                            학생은 눈물을 글썽거렸다. 2위는 smallest 팀과 알로까시옹 팀이 공동수상을 했고, 3위는 protein 팀
                                            과 돌연변이 팀이 공동수상을 하였다.
                                            수개월 간에 걸친 준비와 대회가 끝나고 수상 팀도 결정되었다. 하지만 대회에 참가한 모든 학생들이 결과
                                            에 연연하지 않고 학창 시절 좋은 경험으로 남았으면 좋겠다.



 8  인성                                                                                                    인성    9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