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자료

선생 노릇 참 난감하네
  • 작성일2018.08.30
  • 조회수1000
제59화 - 이한수 / 인성여고 교사

 
우리 세대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이 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제가 대학교에 갓 들어갔을 때 일일 겁니다. 전교 1등 하던 중학생 여자 애가 공부 때문에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나서 온 나라가 발칵 뒤집어졌지요. 죽은 학생이 남긴 유서를 바탕으로 소설과 영화가 나오기도 해서 그 여학생의 아픈 사연을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라는 이 말은 그 시대 사회의 모순을 꼬집는 화두이자 철학적 질문이 되었어요. 벌써 30년이 지났네요.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는 이 말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어떨 때에는 ‘참 세대 차이가 많이 난다’, ‘제들 속은 도대체 알 수가 없네’ 하다가도 한편으로는 달라진 게 하나도 없지 않은가, 아니 우리보다 이 애들이 더 힘든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너무 불쌍하기도 합니다. 한 학생이 이런 넋두리를 하더군요.
 
“과거에 나는 친구들과 잘 지내고 항상 주위에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반복되는 일상에 점점 자신도 모르게 지쳐 버렸던 것인지, 나는 점점 날카로워지고 예민해져서 주위에 있던 사람들은 점점 줄어만 갔다.
계속된 취업 준비에, 공부가 언제 끝날지 모르겠다는 생각에 점점 부모님께 거짓말을 하기 시작했다. 취업이나 공부에 대해 물으시면 “괜찮아요.”라고 말하고 담담하게 넘겨 버렸다.
이제는 부모님도 포기하셨고 나는 그저 이러한 상황을 침묵으로 일관하며 생활해 나가고 있다.“ - 인성여고 1학년 김OO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현상은 과학적으로도 증명된 사회 현상이랍니다.
경제학 이론을 꺼내면 말이 어려워지고 고리타분할 것 같이 무척 망설여지는데 ‘이스털린 역설’이라는 개념을 접하고는 우리 아이들의 고통이 더 절실하게 다가왔거든요.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간 소득 75000 달러까지는 소득이 많을수록 행복감은 비례하여 커지더랍니다. 그 위로는 더 이상 소득이 늘어나도 행복감에는 별 차이가 없더랍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거 좀 화나는 얘기 아닙니까. 연소득 75000 달러 소득은 우리 돈으로 환산하여 월급이 약 600만 원 정도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부부가 맞벌이를 해서 한 달에 이 정도를 버는 집이 얼마나 될까요. ‘이스털린의 역설’, 이거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냐’는 울화통을 더 부채질하는 거 아닌가요. 얘기 하나 더 들어 봅시다.